본문 바로가기

FAQ

  • No
  • 제목
  • 날짜
    • 14
    • 디지털미술아카이브 언박싱
    • 2023.03.19


    언박싱_01. 개요
    00:00 ~ 01:24

    언박싱_02. 아카이브 이해하기
    01:24 ~ 02:47

    언박싱_03. 아카이브 찾기
    02:47 ~ 04:57

    언박싱_04. 아카이브 맥락 찾기
    04:58 ~ 06:22

    언박싱_05. 아카이브 탐구하기
    06:23 ~ 08:33

    언박싱_06. 아카이브 참여하기
    08:34 ~ 10:18

    언박싱_07. 아카이브 연구하기
    10:19 ~ 12:09

    언박싱_08. 아카이브 프로그램
    12:10 ~ 13:24

    • 13
    • 아카이브 용어사전
    • 2023.02.28
    아카이브
    영구적 보존 가치가 있는 기록, 기록을 선별하여 보관하는 장소,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관을 뜻하는 복합적 의미

    아키비스트
    기록의 진본성과 맥락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출처주의, 원질서 존중의 원칙 등에 따라 보존할 가치를 지닌 기록을 수집, 정리·기술, 보존, 검색제공 등의 책임을 지닌 사람

    출처주의
    기록을 생산·축적·유지·활용한 조직이나 개인에 따라 분류·정리·보관하는 원칙

    원질서 존중의 원칙
    기록의 생산자가 구축한 기록의 조직 방식과 순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원칙

    집합적 기술
    기록의 기술이 개별 기록에 대한 기술과 더불어 집합적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

    계층적 관리
    기록을 위계적인 구조(‘컬렉션’-‘시리즈’-‘파일’-아이템‘)에 따라 관리해야 한다는 원칙

    분류
    아카이브를 조직화하고 내적인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아카이브 간의 유기적 관계를 표현하는 과정

    기술
    해당 기록의 내용, 구조, 맥락에 대한 정보를 표준화된 형식에 따라 작성하는 행위

    계층
    위계적 구조인 분류 체계상 위치를 뜻하며, 계층분류의 경우 ‘컬렉션’-‘시리즈’-‘파일’-아이템으로 구성

    아트아카이브
    작가와 매개자 등 다양한 생산자가 예술 분야 활동과 관련되어 생산하고 소장하고 있던 자료

    미술아카이브
    아트아카이브를 관리하는 기관과 장소로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를 의미

    디지털미술아카이브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운영하는 디지털아카이브이자 홈페이지의 역할을 하는 웹사이트

    예술정보자원
    아트아카이브와 도서를 아우르는 용어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는 예술정보자원이라고 지칭

    소장자료
    예술정보자원에서 도서를 제외한 아트아카이브를 뜻하는 것으로 예술자료와 기관자료로 구분

    예술자료
    작품을 제작하거나 전시를 기획하는 등 창작의 과정에서 작가와 매개자, 단체가 생산하고 수집한 자료

    기관자료
    1988년 설립된 서울시립미술관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거둔 운영자료

    계층분류
    예술자료에 적용되는 분류로, 창작자와 매개자의 창·제작 과정, 사회활동 등을 분석하여 ‘컬렉션’-‘시리즈’-‘파일’-아이템‘ 계층으로 분류

    기능분류
    기관자료에 적용되는 분류로, 서울시립미술관의 업무 기능을 분석하여 ’대분류‘-’중분류‘-소분류-아이템’ 계층으로 분류

    시소러스
    용어의 동의어, 반의어 및 계층관계 종속관계 등을 보여주는 구조화된 어휘집

    전거 레코드
    목록에서 접근점으로 선정된 인명, 단체명 등의 표준화된 표목 형태를 다른 정보로 연결하여 상호참조 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모아놓은 것
    • 12
    • 아카이브란 무엇인가?
    • 2023.02.28
    1. 아카이브란 무엇인가? 1)
    아카이브(archive(s))는 영구적 보존 가치가 있는 기록, 기록을 선별하여 보관하는 장소,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관을 뜻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카이브는 기록으로 지칭될 때 개인 또는 조직이 어떠한 활동이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 접수한 기록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내용(content), 구조(structure), 맥락(context)을 가지는 것이 특성입니다. 내용은 기록을 구성하는 문자, 숫자, 이미지 등 구체적인 정보를 의미하며, 구조는 내적 구조(기록의 물리적 특성)와 외적 구조(어떤 기록과 관련된 다른 기록과의 관계)로 구분됩니다. 맥락은 기록이 생산되고 활용되었던 환경과 정황(제목, 생산자명 등 식별정보와 생산자와 생산 목적 등)을 말합니다. 나아가 아카이브는 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출처와 원질서를 존중하고, 집합적 통제에 입각하여 관리됩니다.

    2. 아트아카이브(Art Archives)란?
    아카이브의 정의를 고려해 볼 때 아트아카이브는 작가와 매개자 등 다양한 생산자가 예술 분야 활동과 관련되어 생산하고 소장하고 있던 기록 그것을 수집·관리·보존하는 기관 자체를 의미합니다. 중의적 의미로 인해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는 기록과 기관을 구분하기 위해서 기록을 아트아카이브로, 기관을 미술아카이브로 구별합니다.

    3. 아카이브의 원칙들이란?
    -출처주의: 출처는 기록을 생산·축적·유지·활용한 조직이나 개인을 뜻하고, 출처주의는 기록의 생산 출처(조직, 개인, 기능)에 따라 분류·정리·보관하는 원리로, 출처가 같은 기록을 출처가 다른 기록과 서로 뒤섞어서는 안 되며 이는 기록의 본래 생산 맥락을 보존하기 위한 것입니다.
    -원질서 존중의 원칙: 기록의 생산자가 구축한 기록의 조직 방식과 순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 원칙이 중요한 것은 원질서를 통해 기록이 담고 있는 의미 있는 증거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계층적 관리: 출처주의와 원질서 존중의 원칙에 기반하여 기록의 특성을 유지 및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을 위계적인 구조에 따라 관리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그 위계적 구조는 ‘컬렉션’-‘시리즈’-‘파일’-아이템‘ 등과 같은 계층을 말합니다.
    -집합적 기술: 기록의 기술이 개별 기록에 대한 기술과 더불어 집합적 수준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으로, 개별 기록의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것을 통해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4. 소장자료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관리하는 모든 자료를 예술정보자원이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예술정보자원은 소장자료인 아트아카이브와 도서로 구분됩니다. 아트아카이브는 예술자료, 기관자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예술자료는 작품을 제작하거나 전시를 기획하는 등 창작의 과정에서 작가와 매개자, 단체가 생산하고 수집한 자료를 뜻하며, 기관자료는 1988년 설립된 서울시립미술관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거둔 운영자료입니다. 도서는 목록 개발을 통해 수집된 국내외 미술 분야 단행본 및 연속간행물, 전시도록, 아티스트북, 독립출판물을 말합니다.

    5. 아트아카이브의 분류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분류는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그 두 가지는 예술자료에 적용되는 계층분류와 기관자료에 적용되는 기능분류입니다. 
    계층분류는 수집처의 창·제작 과정, 사회활동 등을 분석하여 ‘컬렉션’-‘시리즈’-‘파일’-‘아이템’ 계층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컬렉션’ 계층은 소장자(처)인 ‘창작자’, ‘매개자’, ‘단체’, 또는 특정 주제로 범주화시킬 수 있는 기록의 총체를 뜻합니다. ‘시리즈’ 계층은 ‘컬렉션’ 계층에서 구분될 수 있는 행위(전시, 사회활동, 사건 등)나 미술사 연구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단위입니다. ‘파일’ 계층은 시리즈 내에서 최소의 행위나 사건별로 분류된 기록의 집합을 의미하며, ‘아이템’ 계층은 더 이상 구별될 수 없는 기록의 최소단위로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수집·관리·보존의 최소단위입니다.
    기능분류는 서울시립미술관의 업무 기능을 분석하여 ‘대분류’-‘중분류’-‘소분류’-‘아이템’ 계층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대분류’ 계층은 서울시립미술관의 핵심 기능인 ‘수집’, ‘교육’, ‘전시’, ‘행사공연’ 등으로 구분됩니다. ‘중분류’ 계층은 핵심 기능 안에서 수행되는 개별 프로그램을 대상·주제·목적 등으로 분류한 것을 말합니다. ‘소분류’ 계층은 개별 프로그램의 업무절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한국기록학회,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2008)에서 인용
    • 11
    • 인물·단체·사건 검색은 어떻게 구축되었고 활용할 수 있나요?
    • 2021.11.30

    전거레코드(authority record)란 목록에서 접근점(access point)으로 선정된 인명, 단체명 등의 표준화된 표목 형태를 다른 형태로 연결하여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모아놓은 것을 뜻합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국내외 표준 및 지침을 참고하여 인물, 단체, 사건 전거와 관련 자료와 연계되는 콘텐츠를 구축하였습니다.

    1. 전거레코드 정의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전거레코드는 인물, 단체, 사건으로 구분됩니다. 우선 소장 아카이브 컬렉션의 창작자와 매개자를 기반으로 인물 전거를 도출하고, 인물별 관련 단체 및 사건을 단체 전거와 사건 전거로 파생하여 구축하였습니다. 전거레코드는 한정된 대상으로부터 다양하게 연계되는 유의미한 정보로서 디지털콘텐츠의 연계와 서비스의 중심이 됩니다.

    전거레코드(인물, 단체, 사건) 아이콘 

    전거레코드 아이콘



    2. 전거레코드 구축
    전거레코드 구축 절차 1) 전거레코드 조사 및 분석 : 구축 범위 선정, 전거 메타데이터 보완, 전거 메타데이터 입력규칙 수립, 전거레코드 구축 및 검수 2) 관리시스템 전거레코드 관리 기능 개선 : 전거 메타데이터 보완사항 반영 3) 전거레코드 구축 : 전거레코드의 관리시스템 등록 및 관련전거 연계

    전거레코드 구축 절차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전거레코드는 소장자(처) 아카이브 컬렉션의 창작자 및 매개자, 관련 주요 단체, 관련 전시 활동 등을 기준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전거레코드는 유형별로 상이한 메타데이터를 가지며, 국내외 표준 및 지침을 준용하여 수립한 입력규칙에 따라 다양한 참고정보원을 참고하여 구축하였습니다.

    - 김달진미술연구소, http://www.daljin.com
    -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 소장작가 정보, https://sema.seoul.go.kr/kr/knowledge_research/collection/landing
      . 지난전시 정보, https://sema.seoul.go.kr/kr/whatson/landing
    - 예술경영지원센터, https://www.gokams.or.kr
    - 월간미술 인명록, https://monthlyart.com/dicwho-page/
    - 김달진미술연구소, 『미술인 인명사전』, 2018
    - 김달진미술연구소,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등

    3. 인물·단체·사건 검색 활용
    SeMA AA 디지털미술아카이브에서 '상세검색'-'인물·단체·사건별' 메뉴로 들어가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검색어 입력창과 검색 필드를 사용하여 인물, 단체, 사건 전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전거레코드 검색 결과는 대등명, 비채택어, 일자, 관련 전거를 제공하는 목록으로 표출됩니다.

    검색 결과 선택 시 상세한 전거정보와 관련 전거, 관련 예술자료 및 기관자료, 도서자료 등의 관련 정보가 제공됩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인물·단체·사건 검색은 소장 컬렉션과 관련된 인물, 단체, 사건을 전거정보로 도출하여 한정된 대상으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연계하고 맥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향후 소장 컬렉션의 확대에 따라 컬렉션과 전거정보를 이해하는 이용자의 시야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10
    • 관련어 검색은 어떻게 구축되었고 활용할 수 있나요?
    • 2021.11.30

    시소러스(thesaurus)란 용어의 동의어, 반의어 및 계층 관계, 종속 관계 등을 보여주는 구조화된 어휘집을 뜻합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관련어 검색에서는 소장 자료와 관련된 대표어를 검색하여 대표어별 설명 및 관계어, 관련 예술/기관자료 및 도서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관련어 검색 정의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관련어는 필수적이고 자주 이용되는 아카이브 관련 용어를 선정하여 구축하였습니다. 나아가 대표어를 기준으로 상위어와 하위어, 동의어, 관련어 등의 관계를 클러스터화(clustering)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영문과 한문으로 이루어진 대등명(외국어)이 있는 경우 설명과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또한 용어의 개념이나 관계어를 단순 제공하는 기존의 시각예술 및 문화 관련어 사례와 달리, 검색 결과를 관련 예술/기관자료, 도서자료 등과 연계하여 컬렉션, 작가, 작품, 유사 개념, 이론 등 다양한 정보로의 접근과 이해를 지원합니다.

    2. 관련어 구축

    관련어 구축 절차 1) 시소러스 조사 및 분석 : 시소러스의 정의 및 목적, 용어관계, 구축 절차 분석, 시소러스 서비스 사례 확인, 시소러스 구축 및 검수 2) 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설계 : 시소러스 메타데이터 설계 3) 아트아카이브 시소러스 구축 : 관리시스템 등록 및 관련전거 연계, 대표어별 관련전거 연계

    관련어 구축 절차



    ISO 2788, ANSI/NISO Z39.19, ISO 25964 등 국내외 시소러스 관련 표준에 기반하여 용어관계를 도출하고, 시각예술 시소러스를 서비스하는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여 구축 범위와 서비스 제공 형태를 설정하였습니다. 또한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에서 제공하는 380여 개의 미술용어와 소장 자료의 정보를 매핑하여 관련성이 높은 대표어를 선정하였습니다.
    관련어 구축 예시 대표어(USE) : 공공미술 / 대등명(외국어, ENG, CHN) : public art, 公共美術 / 상위어(BT) : 환경예술, 장소 특정적 미술, 설치미술 / 하위어(NT) : 커뮤니티 아트(공동체 미술), 모뉴멘트(monument), 환경조형물, 벽화 / 비대표어(동의어, UF) : 공공예술, 퍼블릭 아트 /  관련어(RT) : 공공 미술 프로젝트, 마을 미술 프로젝트, 안양 공공예술 프로젝트

    관련어 구축 예시


    대표어는 관련어 검색을 통해 대표어별 상위어, 하위어, 동의어(비대표어) 및 관련어와 연계되며, 컬렉션시각화에서 관련 인물, 단체, 사건 전거와 연계됩니다.
    관련전거 연계 예시 대표어(USE) : 공공미술 / 전거-인물 : 김용익, 김홍석, 이영욱, 임동식 / 전거-단체 : 야투 / 전거-사건 : 《예술과 마을》, 《제1회 금강현대미술제》

    관련전거 연계 예시


    3. 관련어 검색 활용
    SeMA AA 디지털미술아카이브에서 ‘상세검색’ 하위의 '관련어별' 메뉴로 들어가면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어 검색, 관련어 선택, 관련어 조회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화면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거나 국문(자음), 영문(알파벳), 숫자를 선택하여 대표어를 검색할 수 있는 관련어 검색 화면이 표출됩니다.

    관련어 선택 단계에서는 검색 결과에 따른 대표어별 상위어, 하위어, 관련어를 제공합니다. 이용자는 최대 5개의 관계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관련어 조회 시 대표어별 대등명(외국어), 설명, 참고정보원, 관계어를 비롯하여 아카이브 검색과 연계된 예술/기관자료 및 도서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관련어는 소장 자료와 관련 용어를 연계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용어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관련어가 이용자에게 단순 검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보다 전문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 9
    • 컬렉션시각화는 어떻게 구축되었고 활용할 수 있나요?
    • 2021.11.30

    컬렉션시각화 관련 이미지 

    ⓒ 황윤 Hwangyoon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다양한 소장 정보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전거(인물-단체-사건)레코드를 비롯하여, 컬렉션[C], 시리즈[S], 파일[F], 아이템[I], 관련어가 그것입니다. 컬렉션시각화는 소장 정보들 간의 맥락 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콘텐츠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소장 정보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1. 컬렉션시각화 정의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컬렉션시각화란 위에서 언급된 소장 정보들 간의 상호 관계성을 시각화한 콘텐츠입니다. 아카이브를 구축할 때는 출처와 원질서를 존중하여 각각 기술한 계층을 서로 연결해야 합니다. 기존 미술관 및 박물관에서는 컬렉션의 내용만을 나열하는 형태의 온라인 콘텐츠를 구축했다면, 최근에는 컬렉션 간의 관계성에 주안점을 둔 콘텐츠들이 구축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도 이러한 관점에서 소장 정보들 간의 관계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컬렉션시각화 콘텐츠를 구축하였습니다. 

    노드란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속 정보들의 연결점을 뜻하며, 노드는 인물, 단체, 사건, 컬렉션, 아이템, 관련어로 구성됩니다.
    컬렉션시각화 노드별(인물, 단체, 사건, 컬렉션, 아이템, 시소러스(관련어)) 아이콘화

    컬렉션시각화 노드별 아이콘화



    - 노드 연계 기준은 ‘관련성’에 기반합니다.
     . 인물-인물 연결은 되도록 지양하고자 하나, 직접적인 관계(배우자, 가족, 사제관계 등)인 경우만 등장합니다.
     . 인물-단체 연결은 인물이 속한 단체이거나 해당 기관(단체)에 작품이 소장된 경우, 기관이 주최한 전시에 참여한 경우에 등장합니다.
     . 인물-사건 연결은 인물이 전시, 프로젝트, 사회참여/제도 등과 관련된 경우 등장합니다.
     . 인물-컬렉션 연결은 해당 인물의 컬렉션이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경우 등장합니다.
     . 관련어는 인물, 단체, 사건 정보에 해당 용어가 포함되거나 관련된 경우 등장합니다.
     . 컬렉션-아이템은 최대 10개의 아이템이 등장합니다.

    2.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구축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구축 절차 1)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조사 및 분석 :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서비스 사례조사, 노드 및 연계 구조 도출, 구축 대상 선정 2) 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설계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관리 기능 개발, 전거 기반의 연계를 위한 관리시스템 기능 보완 3)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구축 : 컬렉션별 관련자료 및 관련전거의 관리시스템 등록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구축 절차


    컬렉션 간 관계의 검색, 범례화가 가능한 플랫폼을 선정하고 연계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을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뉴욕공립도서관(NYPL)의 “Terms Explorer (http://www.archives.nypl.org/terms)”은 4개의 패싯을 다중으로 선택하여 탐색이 가능하고 직관적인 시각화툴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4개의 패싯은 인물(Person), 단체(Org.), 주제(Topic), 제목(Titl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85,470개/10,244개/11,790/127,620개의 방대한 노드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이에 SeMA AA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구축을 위해서 아트아카이브관리시스템(AAMS)의 건 등록 메타데이터와 “Terms Explorer”의 노드를 매핑시키고 수정보완을 거쳐 노드 및 연계구조를 도출하였습니다.

    노드 간 연계 구조 1) 전거(인물, 단체, 사건) : 전거(인물, 단체, 사건), 컬렉션, 시소러스와 연계 2) 아이템 : 컬렉션과 연계(전거(인물, 단체, 사건), 시소러스와 연계하지 않음) 3) 컬렉션 : 전거(인물, 단체, 사건)과 연계(컬렉션, 시소러스와 연계하지 않음) 4) 시소러스 : 전거(인물, 단체, 사건)과 연계(컬렉션, 시소러스와 연계하지 않음)노드 간 연계 구조


    3. 컬렉션시각화 콘텐츠 활용
    SeMA AA 디지털미술아카이브에서 ‘탐구와 참여’ 하위의 컬렉션시각화 메뉴로 들어가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들은 검색필드(인물, 단체, 사건, 컬렉션, 관련어) 선택에 따라 노드를 추가·확장하여 돋보기 아이콘(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선택한 검색 필드는 태그 형식으로 표출되며, 초기화 버튼(초기화 버튼 아이콘)을 통해 일괄 삭제가 가능합니다. 선택된 노드 클릭 시 해당 상세조회 페이지로 이동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컬렉션시각화는 소장 정보(노드)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이용자가 특정 인물, 단체, 사건, 컬렉션 및 미술용어를 찾고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상호 연결된 광범위한 네트워크 안에서 보다 적은 노력으로 본인의 관심도에 적합한 주제, 인물, 기관 중심의 컬렉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