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 제목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 장소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모음동 전시실 1·2, 라운지 1·2
    전시기간2023.12.21 ~ 2024.03.31
  • 참여작가박미나, Sasa[44]
    관람료무료
  • 전시문의02-2124-7400
    주최 / 후원서울시립미술관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는 사물과 정보를 조사-수집-분석하는 방법론을 발전시켜 온 박미나와 Sasa[44]의 2인전이다. 두 작가는 2002년 첫 협업 전시를 시작으로 생산과 소비, 원본과 복제의 전후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했고, 현재까지도 실험적 관계 설정을 통해 개인 작업과 공동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박미나와 Sasa[44]가 지난 20여 년간 따로, 또 함께 선보인 전시와 그 기록들을 이력서의 형식을 빌려 하나의 전시로 재구성한다.

 

이력서는 한 사람이 거쳐 온 학업, 직업, 경험 등 개인의 활동을 기록하는 문서의 양식이다. 개인의 경험은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는 항목에 맞춰 정보로 조직되고, 타인에게 나의 공적 서사를 전시하는 수단으로 쓰인다. 이력서가 정보를 구조화하는 하나의 체계이듯, 박미나와 Sasa[44]는 자료 수집과 조사 연구를 기반으로 자신들의 작업 세계를 직조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설계해왔다. 박미나가 회화의 색채를 물감 유통 체계와 연결 짓고 회화의 동시대적 조건을 탐구한다면, Sasa[44]는 시대의 지표가 되는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피처링, 샘플링, 매시업 등 대중음악의 방법을 전유해 새로운 의미의 층위를 발생시킨다.

 

전시는 이력서의 양식에 따라 ‘전시 이력’과 ‘참고문헌’으로 나뉜다. ‘전시 이력’에서는 박미나와 Sasa[44]의 주요 전시를 가로지르며 초기작과 대표작, 미발표작 150여 점을 살펴볼 수 있다. 각각의 작업들은 과거의 전시와 현재를 매개하는 장치이면서, 작업 간의 연계를 강조하는 분류와 배치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드러낸다. ‘참고문헌’은 2001년부터 2022년까지 발행된 국내외 신문, 잡지 등의 연속간행물 중 박미나와 Sasa[44]가 언급된 1,259개의 기사를 수집하여 한 권의 책과 사운드 작업으로 재구성하였다. 이 전시는 박미나와 Sasa[44]의 작업 세계를 경유하여 수집과 아카이브, 기록의 의미를 탐구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자료 수집과 연구의 과정을 포착해 보려는 시도이다.

 

 

CV: MeeNa Park & Sasa[44] is a dual exhibition of works by MeeNa Park and Sasa[44], two artists who have been developing methodologies for investigating, collecting, and analyzing objects and information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Showcasing a shared critical awareness around the contex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riginal and replica with their first joint exhibition in 2002, MeeNa Park and Sasa[44] continue to work both individually and collaboratively through establishing experimental relational conditions. CV borrows the conventions of a curriculum vitae to reconstruct two decades of exhibitions held by the artists, separately and together, and combine them into one show.

 

A CV is a document that serves as a record of an individual’s educational, professional, and personal experiences — experiences recast as information, organized to fit various socially-determined categories, and used as a means of displaying one's public-facing narrative to the world. A CV, then, can be understood as a system for structuring information; in much the same way, MeeNa Park and Sasa[44] have designed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weaving their artistic worlds together, building on a foundation of data collection and survey-based research. Where MeeNa Park draws a connection between the colors of her paintings and the commercial distribution systems of the paints themselves to explore the contemporary conditions of fine art, Sasa[44] collects different materials that represent their era and coopts practices from popular music — like featuring, sampling, and mashups — to generate new layers of meaning.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echoing the format of a CV: “Exhibition Record” and “Bibliography.” In “Exhibition Record,” visitors encounter over 140 pieces that include early and representative works that span the entirety of MeeNa Park and Sasa[44]’s major past exhibitions, as well as some that have never been shown. Each piece acts as a mediating device between past exhibitions and the present, their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unveiling new meanings by emphasizing different associations between them. In “Bibliography,” 1,259 articles that mention MeeNa Park and/or Sasa[44], clipp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papers, magazines, and other serial publication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22, are collected and reconstituted into a book and a sound installation. Even as CV unpacks the significance of collecting, archiving, and recordkeeping through the work of MeeNa Park and Sasa[44], the show seeks to explore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in new ways.